최근 제주와 경남 거창에서 잇달아 지진이 발생하면서 내진용 건축자재가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지진 발생 빈도가 잦아지는 등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내진용 자재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내진설계를 강화해 지진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 내진설계는 1988년 6층 이상, 연면적 10만㎡ 이상 건축물에 한해 의무화했으며 2015년에는 이보다 규정이 강화돼 3층 혹은 높이가 13m 이상,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에 반드시 내진설계를 적용하도록 바꿨다. 지난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정부는 2017년 2월부터 내진 설계 의무 대상을 2층 이상 연면적 500㎡ 이상으로 확대했으며 모든 주택과 연면적 200㎡ 이상 건물까지 의무화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내진용 강관은 국내외 철강 회사, 도로안전시설물, 유통회사, 건설, 토목, 산업기계 뿐만 아니라 여러 자동화업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로안전시설물의 경우 기존에 전광판 및 표지판에 사용하는 지주대를 강관으로 사용해 도시미관을 높였고 또한 직진도나 정밀성이 필요한 물류 자동화설비 업체에서도 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강관업계는 KSD3864와 KSD3632를 획득해 건축 구조물 시장 수요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S인증은 건축구조용탄소강관 KS D3864인증으로 이전에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일반구조용각형강관(KSD3568)의 SRT275, SRT355 재질의 제품이 폭넓게 사용되었으나 2018년부터는 KS D3568은 비용접용으로만 용도가 제한되고, 용접용으로는 KS D3864(건축구조용 각형 탄소강관) KS 인증품을 사용하도록 변경됐다.
하이스틸에서 본격 양산에 착수한내진용 대형 각형강관 하이스퀘어업체별로 살펴보면 현대제철은 건축구조용 강관에 대해 KS인증을 완료했다. (ERW 강관 제품 직경 609.6mm 이하, SAW 강관 제품 직경 1,524mm 이하)
건축용 강관시장 확대를 위해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는 소재 생산이 가능한 현대제철의 일관 생산체제 및 조관기술 전반에 대한 높은 수준의 연구역량에 힘입은 결과로 해석된다.
건축구조용 강관(SNT)은 항복강도 등 물성치에 따라 SNT275 및 SNT355로 나뉘며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ERW(전기저항 용접,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방식과 SAW(아크 용접, Submerged Arc Welding)방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직경 609.6㎜까지는 ERW 방식을 적용하고 그 이상의 대형 강관은 SAW 방식을 적용한다.
현재 ERW와 SAW로 제작된 다양한 사이즈의 건축구조용 강관(SNT)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제조사는 국내에서 현대제철이 유일하며, 고객사들은 제품의 제조방식에 따라 여러 회사에 각각 문의하는 번거로움 없이 현대제철을 통해 원스톱으로 기술사양 협의 및 구매 상담을 할 수 있다.
이어 하이스틸은 국내 최초 내진용 대형 각형강관 하이스퀘어의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국내 수요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하이스틸은 정사각형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까지, 사이즈는 300각에서 1,000각에 최대두께 45mm, 길이 13m에 이르는 고성능 내진용 대형 1Seam 각형강관을 독자기술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위해 하이스틸은 경상남도 함안산단에 상표명 '하이스퀘어' 전용 생산 공장을 설립해 양산에 돌입했다.
하이스틸은 2017년 세계 최초로 초대형 사이즈인 1,000각까지 1Seam 성형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이어 4년여에 걸쳐 전후 공정까지 연계된 공정기술을 개발, 대형 각관제조의 토탈 솔루션을 구축하게 됐다.
회사측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금형의 기하학적 분석으로 요소기술을 구축했고, 각형강관 전용 후공정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1개의 용접부만을 가지는 제조 기술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철강협회 산하 강관협의회에서는 내진설계와 관련해 내지진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내지진강관전문위원회가 사이즈 표준화 및 단순화에 대한 연구를 추진했다. 이는 상향된 강도 기준을 충족하는 내지진 소재를 사용한 건축구조용 강관의 원활한 생산 및 적시 공급을 위해 제품의 사이즈의 단순화와 표준화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내지진 강관의 경우 자체적인 용접성이 우수하고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강재에 대한 항복비(항복 강도와 인장 강도의 비)가 0.85이하로 연신율을 20% 이상 확보할 수 있다. 항복강도 및 인강장도 최대치를 관리해 소성 설계가 가능해 강관의 냉간 성형시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KS등록을 통해 제품포트폴리오 확대와 건축 구조용 강관의 수요확보를 통해 매출 다각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