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유통시장이 출하 가격 인상분을 판매 가격에 적용하기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업계는 2월 하순~3월장에서 적자 판매를 면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수요 부진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등 후판 제조사는 포스코 등은 3월 유통용 출하 가격을 톤당 3만~5만원 인상할 방침이다. 철광석 등 원료 가격 강세와 슬래브 수입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특히 슬래브 수입 가격 급등으로 시장 내에서 연속적인 가격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는 판매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일부 유통 업체들은 일감이 부족한 상황에서 적자 판매까지 진행했기 때문에 앞으론 판매가 다소 부진하더라도 수익성부터 높이겠다는 계획을 설명했다.
가격 인상분이 반영된다면 포스코 수입대응재(GS강종) 판매 가격은 톤당 110만원 중반대 수준(1차 유통사 기준)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정품 가격 인상에도 수입대응재 시장이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출하 가격이 오른 만큼 반영이 나서지 않는다면 적자 규모만 확대될 수 있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최근 열연판재류 유통업계는 일감 부족으로 매출 확보와 수익성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간 소비 물량은 물론, 관공서 납품 또는 공사 업체들의 일감까지 줄어 판매 부진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업계 내에는 관공서 물량을 처리하는 업체에 어음으로 물량을 공급하고도 지자체의 대금 결제 지연과 비용처리 증명 과정이 길어지면서 애꾿은 일부 유통사들이 경영 피해를 입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는 2월 하순부턴 판매 물량을 챙기기보다 수익성을 먼저 사수하겠단 분위기가 강하다.
다만 일감 부족 장기화가 유통업계의 판매 가격 인상 노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적은 일감 때문에 저가 판매를 진행하려는 업체들이 발생할 경우 업계의 수익성 확보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업체별로 재고가 늘어난 점도 가격 인상 적용에 부담 요인이다.
한편 연초 후판 유통업계를 긴장시킨 중국산 오퍼 가격은 반등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중국산 후판의 한국행 수출 오퍼 가격은 톤당 880~890달러(CFR) 수준으로 1개월 전 대비 톤당 50달러 수준 인상됐다. 지속되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그에 따른 수출 가격 인상으로 중국산의 국내 판매 가격은 1분기 유입분보다 2분기 유입분이 더 비싸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