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의 성수기 진입과 자동차산업의 공급망이 점차 안정화되면서 선재 수요가 개선되고 있다.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수입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지만 선재업계는 제품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수급 측면에서 원가 상승 요인이 뚜렷한 데도 선재업계가 가격을 유지하는 이유는 보통강선재를 중심으로 저가 수입재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월 선재 수입은 9만6,415톤으로 전월 대비 17.9% 증가했고, 수입 단가는 톤당 962.5달러로 전월 대비 5.9% 하락했다. 일본산 수입은 전월 대비 16.4% 감소한 2만3,634톤을 기록하고, 중국산 제품은 53.7% 감소한 3만159톤을 기록한 반면 중국산을 대체하는 아세안으로부터의 저가 수입 물량은 전월 대비 무려 3,802.8%나 증가한 3만6,374톤을 기록했다.
수입재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보통강선재 수입은 4만1,127톤으로 전월 대비 101.5%나 증가했고, 수입 단가는 톤당 757.5달러로 전월 대비 5.8% 하락했다. 지역별로 일본산 제품은 1,816톤으로 전월 대비 53.0% 감소한 반면 중국산 수입은 7,029톤으로 전월 대비 411.2%나 증가했고, 아세안산 제품은 3만1,429톤으로 전월 대비 118.2% 증가했다.
반면 특수강선재 수입은 5만5,288톤으로 전월 대비 10.2% 감소했고, 수입 단가는 톤당 1,115.0달러로 전월 대비 2.1%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아세안산 수입이 전월 대비 65.6% 감소하면서 수입 물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가 수입 물량이 증가한 데다 포스코 등에서 생산하는 소재 가격도 아직 큰 변동이 없어 선재 가격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선재업계에서는 조만간 가격 인상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소재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요 수입국인 일본 선재업계가 3월 계약 및 4월 출하분부터 선재 가격을 톤당 5,000~1만5,000엔가량 인상했다. 그리고 중국과 아세안 국가의 선재업체들도 3월 중순 선재 수출 가격을 톤당 60~70달러, 많게는 최대 90달러까지 인상했다.
이처럼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입재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2분기에는 선재업계의 제품 출하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