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여름, STS 덤핑 제재 내용 무엇이 담겼었나?
지난해 8월, 기획재정부는 직전 달에 산업통상장원부 무역위원회가 중국·인도네시아·대만산(産) 스테인리스 평판압연제품 반덤핑 과세 부과를 최종 판정함에 따라 반덤핑 제재 입법예고한 바 있다.
당시 기획재정부는 무역위원회가 반덤핑 최종조사결과 발표에서 일부 품목에 국내 공급 여력이 부족하다고 평가됨에 따라 200계(니켈 함량 6%미만, 망간 3% 이상) 제품 및 폭 2,000밀리미터(mm) 이상인 열간압연 제품 등 일부 물품에 대해서는 부과를 제외했다.
아울러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격 수정에 관한 약속을 수락한 공급자는 부과대상 공급자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중국 산시타이강, 리스코, 인도네시아 인니청산, 대만 유스코, 왈신 등은 기획재정부과 수출 가격 인상을 약속하고 이를 이행하고 있다. 수출 가격 인상 약속을 맺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반덤핑 세율로 중국산 24.83%, 인도네시아산 25.82%, 대만산 9.07% 수준이 산정됐다.
- 수입 얼마나 줄어들고 있나?
STS 수입은 무역위원원회의 반덤핑 최종 판정이 발표되기 직전인 지난해 6월까진 급등 흐름을 보였다. 보다 저렴한 가격에 재고를 쌓아두려던 실수요업계 및 수입업계의 전략과 일단 수출을 늘리려는 현지 업체들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과로 지난해 1~7월 스테인리스 냉연강판 수입은 28만4천톤 수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급증한 바 있다. 특히 7월에는 최종 판정 발표 직전까지 계약된 수입재 물량 7만톤이 한꺼번에 국내로 쏟아지기도 했다.
반면 8월부터는 수입비중이 눈에 띄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8월 이후 올해 2월까지 STS CR 수입량은 월평균 1만4천~1만5천톤으로 지난해 1~7월 수입량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 10월과 11에는 채 1만톤에도 미치지 못하는 9천톤 수준이, 올해 2월에도 수입 규모가 1만3천톤 수준으로 저조했다.
국내 STS 업계 관계자들은 “팬데믹 진입 이후 2021년부터 경제가 느리게나마 회복을 보여 국내 스테인리스 수요는 확대 국면에 진입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라며 “때문에 수입이 줄어든 것은 수요 감소 때문이 아니라 반덤핑 제재의 강력한 효과로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 기존 수입재 대량 유통업체들도 국산 비중 높이는 중
지난해 연말, 황금에스티와 티플랙스 등 수입재 중심의 STS 가공센터 들은 포스코와 협력가공센터 협약을 체결했다. 대표적으로 수입재를 다루던 명성 있는 업체들이 국내 최대 STS 제조사와 공급 협약을 맺었다.
포스코는 ▲스테인리스 전용 가공 설비 보유 및 능력 ▲ 제반 공장설비 및 보관 능력 ▲ 가공품 영업능력 ▲ 생산/고객 관리시스템 ▲ 재무 안정성과 담보제공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으며 설비, 영업능력 등에서 우수한 점수를 획득한 황금에스티와 티플랙스를 협력가공센터로 최종 선정했다.
포스코 입장에서도 반덤핑 제재로 국산 수요과 확대되고 공급 능력 확충이 필요한 상황에서 기존 고객층이 탄탄하고 설비 능력이 우수한 수입재 취급 업체들에 손을 내민 것이다.
올해 취재를 통해 만난 포스코 신규 협력가공센터 관계자는 “반덤핑 조사 과정에서 포스코와 치열하게 논리 다툼도 벌였고, 전체 수입 업체와 수입재 취급업체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라며 “하지만 결국엔 국내 수급이 어려운 일부 강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우리도 새로운 제품 수급처가 필요했던 찰나에 규제 다툼을 벌이던 포스코와 상호 간 입장이 맞아떨어져 대리점 공모 신청과 테스트를 걸쳐 협력관계를 다지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들 업체는 200계와 일부 광폭 제품은 수입을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스테인리스 2~3차 가공제품에서 국산 소재 채택 비율을 높이고 일반 300계와 400계 제품은 국산 비중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포스코는 자신들의 경쟁자나 다름없었던 수입재 취급업체를 자신들의 편에 끌어들이는 결과를 얻게 됐다.
- 가공업체·지역 유통업체에서도 ‘국산’ 거래 비율 높아져
- 가전·반도체장비·자동차 등 대형 실수요가들도 소재 공급처 국내로 옮겨
단순히 대형 유통업체 한두 곳이 포스코와 거래를 시작한 것이 반덤핑 제재 효과에 전부는 아니다. 취재를 통해 접한 지역 2~3차 유통사와 제품을 대신 사들여 제품 가공 후 공급하는 가공전문사들도 국산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중소형 유통업체와 가공전문사, 영세사업장에는 수입재가 압도적으로 취급 빈도가 높았다. 그만큼 고객들도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입재를 선호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들 업체에서도 국산 STS 강판을 찾는 비중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STS 강판 수입은 주로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이뤄졌는데 이들 국가들이 고율 반덤핑 관세나 수출 가격 인상 약속을 체결하면서 국내 시장 내 가격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기존에 수입재를 다루던 판재류 가공사의 사장은 “인도네시아산이나 중국산 등 아시아산 수입재가 이젠 국산 가격 수준에 맞먹거나 이미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최종 납기에 유리한 국산을 마다할 이유가 없어지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가격에 민감한 수요가들이 같은 가격이면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국산을 찾고 있다고 덧붙어 전했다.
STS 시장에서는 국내 대형 수요가들도 국산 비중을 늘릴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중국 STS제조사들은 자국 공급에도 빡빡한 공급일정을 치르고 있고, 유럽과 북미지역 STS 가격 폭등으로 아시아 STS 생산자들이 해외 수출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STS 대형 수요가들은 안정적 STS 원자재 공급을 위해서 국내 STS 제조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들은 반도체 장비와 가전제품, 자동차용품 등에서 국산 STS 대체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며 앞으로 일반 소비재 부문에서도 국산 대체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