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GDP 성장률 호조에도 제조업과 건설 등 주요 철강 수요산업의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철광석과 철스크랩 등 원료 가격 하락세도 지속되면서 중국의 철강 가격이 하락했다.
4월 3주차 상하이와 톈진의 판재류 가격은 톤당 70~190위안 하락했고, 봉형강류 가격은 톤당 20~200위안 하락했다.
중국 경제는 지표상으로는 양호한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분기 중국의 GDP 성장률은 4.5%로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월 수출 또한 달러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했다. 중국 수출이 증가세를 보인 것은 작년 9월 이후 6개월만이다.
하지만 경제 지표 호조에도 철강 수요산업 경기는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SVB 파산 여파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불안 영향으로 3월 중국 민간 중소기업의 제조업 업황을 나타내는 차이신(財新)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3월 중립 수준(기준선 50)으로 하락했다. 이는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2월 대비 1.6p 하락한 것이다.
그리고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통계에 따르면 3월 중국 승용차 (소매)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한 159만6,000대, 이중 신에너지승용차는 54만9,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5% 증가한 데 그쳤다.
또한 4월 들어 중부와 남부지역에서 폭우가 잇따르는 등 기상 악화로 인해 건설 경기도 부진한 상황이다.
게다가 원료 가격 하락세도 지속되고 있다. 4월 4주차 중국의 수입 철광석 가격은 전주 대비 톤당 7달러가량 하락하며 4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철스크랩 가격 또한 전주 대비 톤당 100위안 이상 하락했다.
이처럼 원료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조강 생산은 증가하면서 공급 증가가 지속되는 동시에 노동절 휴가를 앞두고 유통업계와 수요산업계가 구매를 축소한 것도 가격 하락의 원인이 됐다.
한편 5월 첫째 주는 노동절 연휴로 인해 수요산업계와 유통업계가 구매를 늘리지 않아 가격 약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중국 정부가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추진 중에 있어 5월 중순부터는 가격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시아는 제조업 경기 회복에도 금융 불안과 저가 수입재 증가 및 원부자재 가격 하락으로 판재 가격이 하락했고, 인도 또한 수요 호조에도 원료 가격 하락과 수입재 증가로 판재 가격이 하락했다. 다만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인프라 투자 확대로 두 지역 모두 건설재 가격은 상승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는 수요산업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철강 수요는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밀어내기 수출 확대에 따른 저가 수입재 증가와 원부자재 가격 하락으로 당분간 철강 가격이 보합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일본은 원료 가격 하락에도 제조업 경기 호조와 함께 성수기 건설 투자 증가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판재 가격이 상승했다. 다만 철스크랩 가격 안정화로 건설재 가격은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일본은 원부자재 가격 하락에도 성수기 진입으로 가격 강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은 원부자재 가격 하향 안정세가 지속되고 고금리와 SVB 파산 여파에 따른 금융 불안, 3월 이후 지속된 저가 수입재 증가 등으로 인해 자동차와 에너지산업 경기 호조, 일부 제강사들의 공장 가동률 하락에 따른 공급 감소에도 철강 가격이 하락했다. 미국 시장은 제강사들의 공장 가동률 하락에 따른 공급 부족이 지속되고 있으나 고금리에 따른 경기 부진과 정부의 재정 악화 문제가 불거지고 있어 당분간 철강 가격이 약세를 띌 전망이다.
유럽은 타 지역 대비 수요산업 경기가 부진한 데다 원부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튀르키예의 생산 정상화에 따른 공급 증가 예상으로 인해 철강 가격이 하락했다. 다만 성수기 진입으로 건설재 가격은 소폭 상승했다. 유럽은 성수기 건설 투자 증가세가 지속되더라도 튀르키예와 아시아의 저가 수입재 증가와 원부자재 및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철강 가격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