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철강부가 자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특수강 생산능력 확대와 철강산업계의 녹색 전환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인도 철강부는 지난달 초 향후 5년 동안 총 36억6,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2,500만 톤의 특수강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27개 철강기업들과 57건의 계약을 체결했다.
철강부는 인도 철강업체들이 특수강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설립한 7억7,000만 달러 규모의 정부 기금을 통해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PLI(Production Linked Incentive) Scheme 1.0' 프로그램을 통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4월 26일(현지시간) 조티라디타 신디아(Jyotiraditya Scindia) 인도 철강부 장관은 “특수강 생산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 철강기업들에게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두 번째 프로그램 ‘PLI(Production Linked Incentive) Scheme 2.0’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디아 장관은 “인도 철강사들의 적극적인 특수강 생산 확대를 위한 노력에 만족스럽다. 다만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는 철강재나 고부가가치 강종이 사용되는 분야를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PLI Scheme 2.0의 작업이 아직 예비 단계에 있지만 정부의 재정 투입이 가장 효과적인 것이 어떤 부문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고로업체 및 전기아크로 제강사들과 심도 있는 협의를 거친 후 최종 확정되고 운영될 ”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가 특수강 생산능력 확대를 지원하기로 한 이유는 자국 내 제조업 성장으로 인해 특수강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생산능력 부족으로 인해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회계연도 하반기 인도의 특수강 수입이 급증했는데 이는 자국 내 생산능력 부족이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주요 시장조사기관들에서는 앞으로도 STS를 포함한 특수강 수요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공 있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 CRISIL에 따르면 2022년 400만 톤이던 인도의 STS 수요는 향후 3년 동안 연평균 9%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철도 및 건설 부문의 STS 수요가 급증하고, 자동차산업 성장으로 인해 해당 부문의 STS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증가하는 수요에 맞춰 특수강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 철강업계의 녹색 전환을 위해 자국 철강업계가 생산한 그린스틸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는 정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신디아 장관은 “인도 정부가 철강업계의 녹색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 프로젝트에 인도 철강기업들이 생산한 그린스틸을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하도록 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린스틸 가치사슬 구축은 인도 철강산업의 미래이며, 새로운 친환경 생산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철강 생산공정을 친환경 공정으로 전환하는 한편 인도산 그린스틸의 점유율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린스틸 생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그린수소 기반의 수소환원제철은 물론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련하는 전기분해제철기술, 석탄 기반 제철공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CUS) 기술 등은 모두 그린스틸 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들이다. 인도 철강부는 철강업계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파간 싱 쿨라스테(Faggan Singh Kulaste) 인도 철강부 차관은 “수출을 포함한 인도 철강 소비가 2023 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1억3200~1억3,5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쿨라스테 차관은 “철강부가 잠정 집계한 2022 회계연도 총 철강 소비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1억1,900만 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의 철강 소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고, 인프라 부문에 대한 정부의 막대한 재정 지출에 의해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 철강산업은 저급 철광석 활용, 치노한경 철강 생산 공정 채택을 포함한 기술 개발, 농초노가 도시 간 철강 소비 격차 해소라는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