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열연강판 유통가격이 장기간 보합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포스코에 이어 현대제철도 4월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하면서 향후 시황 흐름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건설경기 위축 등 수요산업의 부진 속에서도 제조업계의 가격 인상 시도가 유통가격 반등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3월 국산 열연강판 정품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반 수준에서, 수입대응재는 70만 원 후반대, 수입재는 70만 원 중후반 수준에서 정체된 흐름을 나타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 열연강판 유통가격은 지난해 말부터 이렇다 할 가격 변화 없이 보합세를 지속 중”이라며 “일부 품목에서 미세한 등락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큰 흐름 없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포스코는 4월 주문투입분 열연강판 가격을 톤당 3만 원 인상했다. 현대제철 역시 비슷한 수준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이는 올 초부터 수요 부진에 막혀 무산됐던 제조사의 가격 조정 움직임이 다시금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철강업계는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라는 삼중고 속에 원가 부담이 누적되면서, 가격 인상 없이는 수익성 방어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주요 제조사들은 작년부터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 등을 근거로 가격 현실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왔다.
한편, 글로벌 철강 시황의 핵심인 중국 시장의 회복 지연도 국내 시황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중국 내 건설·제조업 회복세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글로벌 가격 반등 역시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