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국내 후판 가격이 강세를 나타낸 가운데 주요 철강 제조사들의 연이은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이에 철강업계는 4월 추가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수급이 빡빡해지는 것도 국내 업황에는 긍정적이다.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수입규제 본격화와 생산 설비 점검에 따른 공급 축소가 맞물리며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4월 수입대응재 후판에 대해 톤당 2만 원의 가격 인상을 알렸으며 현대제철과 동국제강도 각각 3만 원 수준의 인상 계획을 유통시장에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제조업계의 가격 인상은 최근까지 지속된 적자 구조를 타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제품군에 따라 유통가격의 흐름도 차이를 나타냈다. 수입대응재와 수입산 후판은 무역규제 영향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산 저가 후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 개시와 예비판정 이후 수입 물량이 급감하면서 유통시장에서 가격 지지력이 강화되는 분위기다.
반면 국산 정품 후판 유통가격은 90만 원대의 가격에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건설 등 주요 전방산업 업황 악화로 정품 수요 감소의 영향이 컸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당국의 잠정덤핑방지관세 발표 이후 효과를 보이면서 시장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며 “감소한 수입재 수요가 국산 제품으로 전환될 경우, 전체 시황 흐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국산 정품 후판 유통가격은 톤당 90만 원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입대응재는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올라 80만 원 후반대에서 거래 중이다. 수입산 후판도 80만 원 중후반 수준으로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