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장동향-STS] 11월장 ‘숨 고르기’?…3개월 연속 출하價 인상 불발되나
스테인리스(STS) 시장 분위가 10월 하순에 이르러 ‘11월 관망&보합세’를 점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제조사가 앞선 2개월 연속 인상을 멈추고 한 차례 숨 고르기에 들어갈 것이란 평가까지 나오는 가운데 유통업계에선 9~10월 매입 가격 인상분을 판가에 적용하는 숙제를 계속 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STS 시장에선 환율과 니켈 보합세, 몰레브데넘&크로뮴 가격 강세로 원가 압박을 받는 STS 제조밀이 11월 출하 가격을 동결하거나 소폭 수준의 인상만 진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TS밀의 사전 가격 인상 통보가 없는 데다가 STS 유통, STS 강관 등 유통점 및 STS실수요 시장이 9~10월분 출하가격 인상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제조사가 가격 인상 부담을 받고 있단 분석이다.
실제로 STS 대형 유통점 기준 포스코산 STS304 냉연강판은 톤당 325만~330만 수준에 거래되면서 2개월치 매입 가격(제조사 출하 가격) 인상분을 모두 반영할 시 적용되어야 할 톤당 335만 원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10월 동안 수입재 가격이 국산 가격 인상 흐름 및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톤당 5만~10만 원 수준 오르면서 국산 가격 인상이 다시 한번 인상 동력을 갖게 됐다.
STS 유통점과 STS 실수요 업계가 STS밀에 ‘속도조절’을 요구하는 상황에 밀 업계에선 가격 수준을 고심하고 있다. 원가 압박이 계속되고 있지만 3분기 가격 인상에 적극적이었던 해외 STS밀들이 10월 들어 업체별로 가격을 추가 인상하거나 반대로 인하하는 등 전략 차를 보여 글로벌 인상 단일대오가 깨졌고, 재고분의 고환율 시기 매입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니켈 가격의 장기 횡보로 3개월 연속 인상의 설득 요인이 떨어지고 있다.
다만 이전까지 STS밀이 환율과 수입재 가격 등을 종합해 차기 가격을 결정한다고 설명한 가운데 현재로썬 두 변수가 생산원가 압박을 주는 수준으로 올라 STS 밀의 최종 통보를 예단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