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이 시작된 가운데 비철금속 업계가 수출 선적 차질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칫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에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으로 당장 수출 선적이 중단되면서 수출 중심의 기업들이 당장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내수 출하의 경우, 비록 제한적이더라도 비노조원 차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응할 수 있지만 수출 선적은 전면 중단됐기 때문에 당장 차질을 빚고 있다. 그마저도 자칫 화물연대 노조와의 충돌도 우려된다. 앞서 화물연대 파업이 진행되면 대형 사업장 앞에서 노조원 차량들이 화물 운송을 방해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A사 임원은 "내수 고객에 대해서는 비노조원 차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출하 차질을 최소화 하려 하는데 그것도 리스크가 있고, 수출은 파업으로 항만이 통제되면서 오고가도 못하는 상황이다"면서 "개별 기업으로서 대응할 수 있는 뾰족한 수가 없다. 납기 지연이 불가피하고 중기적으로는 거래처와의 관계도 훼손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6월 7~14일 파업 당시에도 수출기업들이 상당한 타격을 입은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집계된 피해 규모는 대기업을 포함해 약 2조~3조원으로 추산되는데, 드러나지 않은 손해까지 감안하면 피해 규모가 더 컸다는 것이 산업계의 입장이다.
정부가 이번 파업의 쟁점이 안전운임제 일몰시한을 3년 연장하며 타결 의지를 내보였지만 자칫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기업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비철금속 산업계는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파업으로 인해 생산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선적 차질이 발생하면서 해외 고객들에게 일일이 설명하면서 납기 지연에 대해 양해를 구하고 있지만, 이번 주에 제품이 나가지 못하면 11월 실적에 반영할 수가 없어서 재무·회계상으로도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반기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제품 대기 보관이 길어지면 물류비 부담도 늘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