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및 인플레이션에 따른 건설 경기 부진과 반도체 수급난 지속에 따른 자동차산업 부진, 중국의 공급망 재편 및 경기 회복 지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따른 공급망 충격과 에너지 대란, 선진국들의 경기 부진 및 신흥국들의 금융 불안 여파로 인해 4분기 일본의 특수강 생산이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자동차 생산 회복 및 기계산업 호조에 전 분기 대비로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경제통상산업성이 최근 발표한 '2023년 4분기 특수강 생산 전망'에 따르면 4분기 특수강 생산은 405만3,000톤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1.1% 증가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1.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내수용 생산은 291만7,000톤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1.0% 증가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2.3%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수출용 생산은 113만6,000톤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1.4% 증가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0.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내수는 공급망의 일정 수준 회복에 따른 자동차 생산 증가, 기계 및 조선 등 제조업 경기 호조로 인해 전 분기 대비로는 증가하지만 고금리에 따른 건설 경기 부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감소가 예상된다. 그리고 수출용 생산은 주요 수출국의 자동차 생산 증가와 기계 및 조선업 경기 호조로 전 분기 대비로는 증가하지만, 중국의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러-우 전쟁 및 금융 불안, 주요국들의 통화 긴축 및 인플레이션에 따른 주요 선진국들과 신흥국들의 경기 부진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 내수 생산 전망을 살펴보면 구조용 합금강과 스프링강, 고장력강과 기타 특수강을 제외한 전 품목의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구조용 합금강과 스프링강, 고장력강과 기타 특수강 생산은 각 64만7,000톤, 5만2,000톤, 70만 톤, 8만1,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6.9%, 4.3%, 9.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공구강과 기계구조용 탄소강, 베어링강 생산은 각 3만1,000톤, 84만2,000톤, 13만8,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 2.5%, 6.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STS 구조용 강과 STS 판재류 생산은 각 8만7,000톤, 25만5,000톤으로 전녀 동기 대비 23.6%, 22.4% 감소하고, STS 제품 합계로는 34만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7% 감소하며, 쾌삭강 생산은 8만4,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 수출 생산 전망을 살펴보면 구조용 합금강과 베어링강, STS 구조용 강과 쾌삭강, 기타 특수강 생산은 증가하고, 그 외 품목은 감소할 전망이다.
구조용 합금강과 베어링강, 쾌삭강과 기타 특수강 생산은 각 25만6,000톤, 5만4,000톤, 3만1,000톤, 4만9,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3.8%, 66.8%, 3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STS의 경우 STS 구조용 강 생산은 5만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하는 반면 STS 판재류 생산은 10만9,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할 전망이다. STS 제품 합계로는 16만1,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공구강과 기계구조용 탄소강, 스프링강과 고장력강 생산은 각 8,000톤, 13만8,000톤, 2만9,000톤, 41만1,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 16.3%, 11.9%, 4.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올해 들어 공급망이 안정화되면서 자동차 생산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기계 및 조선업, 중장비 등 특수강의 주요 수요산업 경기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수요산업 경기 호조로 인해 전 분기 대비로는 내수 생산이 증가하지만 전년 대비로는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수출 생산의 경우 반도체 수급난 해소에 따른 주요 공업국들의 자동차 생산 증가, 북미와 신흥국들의 인프라 및 자원개발 부문 프로젝트 증가에 따른 건설기계 수요 증가, 세계 조업 경기 회복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공급망 안정화가 완전하지 않은 탓에 국내 자동차산업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 데다, 중국의 공급망 재편과 부동산 경기 침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선진국의 경기 부진도 장기화되고 있어 전년 대비로는 내수 및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