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재 방어·신수요 창출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해야 한다
최근 철강업체들이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선방했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다수는 예상대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철강업체들의 실적 부진은 건설업 장기 침체와 주력산업의 수출 둔화, 트럼프 리스크와 세계 경제의 부진에 따른 국내외 수요 부진과 중국산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수요 부진으로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산 수입재의 시장 침투가 지속되어 제품 가격 인상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내외 경제 여건을 볼 때 현재와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지난해 부진한 실적으로 상당수 철강업체들이 재무적 부담을 지고 있는 상황에서 실적 부진이 장기화된다면 부도사태 등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미 국내 중소 철강 유통업체들은 지난해 상당수가 부도를 맞이했고, 그와 같은 상황은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경영위기가 장기화되면서 철강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선 수요 창출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강력한 경기부양책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를 포함한 주요국들의 수입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2~3년 동안 정부가 SOC 예산을 대폭 감축하여 공공건설 투자가 크게 감소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입재에 대해서는 최근 판재업계가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통해 관세 부과를 이끌어낸 것과 마찬가지로 더욱 적극적인 관세 부과는 물론 각종 인증제도와 조달정책 개선을 통해 국내시장을 방어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무역보복 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으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부과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업계와 정부만 손을 놓고 있는 것도 부적절하다.
셋째, 산업용 전기요금과 LNG요금, 수도요금 등 각종 산업용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는 한편 물류비 지원 등을 통해 비용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상의 단기적 대응책 외에 중장기적으로는 신산업 투자 확대와 수요산업계와 철강업계의 공동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강종 개발 및 신수요 창출을 적극 지원하는 것이 궁극적 해법이다.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사실상 역대 최악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민관의 강력한 협력을 통해 대응책을 조기에 마련한다면 이번 위기 또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며,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부디 국내 철강업계가 이번 위기를 헤치고 더욱 강력한 모습으로 부활하기를 기대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