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5월 경강선재 판매 전년比 7.1% 감소
반도체와 조선업 수출 호조에도 내수 소비 부진에 따른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생산 소폭 감소, 고금리 장기화와 아파트 미분양에 따른 건설 및 중장비 부문 침체, 주력산업 위기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 트럼프 리스크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대외 악재 심화와 중국산 수입재 시장 잠식 등으로 인해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본지가 국내 주요 경강선재 제품 제조업체 6개사(고려제강·만호제강·동일제강·DSR제강·영흥·청우제강)의 2025년 5월 판매실적을 집계한 결과, 경강선재 제품 판매는 3만4,197톤으로 3만6,010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5.0% 감소한 반면 3만5,890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4.7% 감소했다. 5월 누적 기준 판매는 16만6,375톤으로 17만9,075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다.

수요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5월 반도체와 조선 부문 수출은 증가했으나 완성차와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가전, 이차전지,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 수출은 감소했다. 실질적으로 선재 수요가 증가한 것은 반도체 부문 뿐이었다. 조선업의 경우 LNG선박 위주의 건조와 업계의 구매정책 변경으로 인해 선재 수요는 오히려 감소했기 때문이다. 완성차와 자동차부품의 경우 내수 소비 부진에 따른 생산 감소로 인해 수요가 감소했고,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와 산업 공동화로 일반기계와 가전 부문 수요도 감소했다. 그리고 캐즘으로 인해 이차전지 부문 수요가 감소했고, 석유 및 석유화학 부문은 중국, 중동과의 경쟁 심화에 따른 가동률 하락으로 수요가 감소했으며, 디스플레이 부문 또한 수출 감소로 수요가 감소했다. 또한 고금리와 아파트 및 상가 미분양 증가에 따른 주택시장 침체와 SOC 투자 감소로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 수출국들의 부진도 지속되면서 국내외 건설 및 중장비 부문의 수요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6개사의 5월 내수 판매는 1만8,947톤으로 2만293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6.6%, 1만9,938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5.0% 감소했다. 5월 누적 기준으로는 9만2,030톤으로 10만5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했다. 5월 판매 감소는 건설 부진과 소비 부진에 따른 자동차 및 가전 생산 감소로 인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이형PC강봉과 기타제품 판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며, 5월 누적 기준으로는 주력산업 부진에 도금강(연)선을 제외한 전 제품의 판매가 감소했다.
5월 누적 기준 품목별 내수 판매 동향을 살펴보면 도금강(연)선 판매는 5,26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2% 증가한 반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PC강(연)선, 이형PC강봉, 기타제품 판매는 각 1만7,354톤, 3만2,054톤, 9,616톤, 3,941톤, 2만3,8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1.7%, 21.7%, 46.1%, 11.3% 감소했다.
도금강(연)선은 전년도 부진의 기저효과로 판매가 증가했다. 반면 와이어로프는 컨테이너선 인도 완료에 따른 조선 생산 물량 감소와 조선업계의 구매정책 변경 및 건설 경기 부진으로 판매가 감소했고, 경강선 또한 금액 기준 수출 호조에도 내수 소비 부진과 친환경차 비중 확대에 따른 자동차 생산 물량 감소로 판매가 소폭 감소했다. PC강(연)선과 이형PC강봉은 건설 경기 침체로 판매가 감소했고, 기타제품은 기계 및 전기전자산업 부진에 판매가 감소했다.
5월 경강선재 수출은 1만5,251톤으로 1만5,715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3.0%, 1만5,953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4.4% 감소했다. 5월 누적 기준으로는 7만4,343톤을 기록하여 7만9,070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했다. 수출의 경우 조선업 부문을 제외한 인프라 및 제조업 부문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5월 누적 기준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기타제품 수출은 각 4만465톤, 2만5,959톤, 7,91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2.5%, 33.7% 감소했다.
와이어로프의 경우 세계 조선업 경기 호조와 인도와 아세안 등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회복에도 선진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와 이란-이스라엘 전쟁에 따른 중동지역 수출 부진으로 인해 수출이 소폭 감소했다. 그리고 경강선과 기타제품은 트럼프의 보호주의 강화 및 선진국들의 경기 침체에 따른 자동차 생산 감소, 세계 경제 침체에 따른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와 전자산업 생산기지 이전으로 인해 모두 감소했다.
한편 6월 이후에도 주택시장 부진과 SOC 투자 감소와 함께 계절적 비수기 진입에 따른 국내 및 주요 수출국 건설 경기가 모두 침체되는 동시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주의가 강화와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대외 악재 심화로 인해 주요 전방산업의 수출도 둔화되면서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