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7월 경강선재 판매 전년比 6.3% 감소
아파트와 상가 미분양 증가, SOC 투자 감소에 따른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와 수출국 건설 경기 둔화 및 캐즘 현상에 따른 신흥국들의 광산업 부진에 따른 중장비 생산 급감, 주력산업 위기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 소비 침체로 인한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생산 소폭 감소,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수출 여건 악화와 중국산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으로 인해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본지가 국내 주요 경강선재 제품 제조업체 6개사(고려제강·만호제강·동일제강·DSR제강·영흥·청우제강)의 2025년 7월 판매실적을 집계한 결과, 경강선재 제품 판매는 3만4,724톤으로 3만3,355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4.1% 증가한 반면, 3만6,228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4.2% 감소했다. 7월 누적 기준 판매는 23만4,875톤으로 25만673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

수요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상반기 반도체와 조선, 완성차 부문은 수출 호조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실제 수요가 호조를 보인 부문은 반도체 장비 뿐이었다. 조선의 경우 LNG선박 위주의 건조와 구매정책 변경으로 실제 수요는 오히려 감소했고, 완성차와 자동차부품은 전기차 비중 확대와 소비 부진에 따른 내수판매 감소로 생산이 소폭 감소했다. 건설 부문은 민간 주택시장과 공공건설 모두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고, 주요 선진국들의 경기 침체와 신흥국들의 광산업 부진에 중장비 생산은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리고 주력산업 부진으로 기계 및 플랜트 부문의 수요도 감소했고, 생산기지 이전과 소비 부진에 전기전자 부문의 수요도 감소했다. 이처럼 국내외 수요가 모두 부진한 탓에 영흥 등 일부 업체는 생산용량을 축소했고, 타 업체들이 가동률도 하락했다.
6개사의 7월 내수 판매는 1만9,881톤으로 1만8,356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8.3%, 1만8,737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6.1% 증가했다. 7월 누적 기준으로는 13만778톤으로 13만7,473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로는 4.9% 감소했다. 7월 판매 증가는 조선과 자동차, 반도체 수출 호조로 인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기타제품 수요가 증가한 데다 기저효과로 인해 PC강(연)선과 도금강(연선) 판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7월 누적 기준 품목별 내수 판매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와 도금강(연)선 판매는 각 2만5,508톤, 6,96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46.5% 증가한 반면 경강선과 PC강(연)선, 이형PC강봉, 기타제품 판매는 각 4만5,105톤, 1만3883톤, 5,457톤, 3만3,85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16.9%, 42.2%, 6.8% 감소했다.
와이어로프는 건설 부문 부진에도 조선업 호조로 판매가 증가했고, 도금강(연)선은 전년도 부진의 기저효과로 판매가 증가했다. 반면 경강선 또한 금액 기준 수출 호조에도 내수 소비 부진과 친환경차 비중 확대에 따른 자동차 생산 물량 감소로 판매가 소폭 감소했다. PC강(연)선과 이형PC강봉은 건설 경기 침체로 판매가 감소했고, 기타제품은 기계 및 전기전자산업 부진에 판매가 감소했다.
7월 경강선재 수출은 1만4,845톤으로 1만4,997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1.0%, 1만7,492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1% 감소했다. 7월 누적 기준으로는 10만4,906톤을 기록하여 11만3,199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했다. 수출의 경우 주요 수출국들의 비수기와 경기 침체로 인해 전 품목이 모두 감소했다.
7월 누적 기준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기타제품 수출은 각 5만6,756톤, 3만5,979톤, 1만1,54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5.9%, 30.6% 감소했다.
와이어로프는 일부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증가와 세계 조선업 경기 호조에도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수출이 감소했고, 경강선과 기타제품은 트럼프의 보호주의 강화 및 선진국들의 경기 침체에 따른 자동차 생산 감소, 세계 경제 침체에 따른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수출이 감소했다.
한편 8월 이후에도 국내 건설 경기 침체와 주력산업의 부진이 지속되고, 트럼프 정부와의 관세 협상 타결에도 전반적인 대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