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93.8%, 국내근로자 채용 어려워 외국인근로자 유지 또는 확대 계획

일반경제 2025-09-16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외국인근로자를 활용 중인 중소기업 50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주 대상 의견조사’ 결과를 9월 16일 발표했다.

본 조사는 2024년에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50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고용허가제 애로·개선 과제 및 정책 도입 영향 등을 파악하고자 지난 7월 2주 간 실시됐다.

조사 결과, 전체의 93.8%가 국내근로자 채용이 어려워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다고 답했다. 반면, 인건비 절감은 단 2.6%만이 꼽혀 고용허가제를 통한 외국인근로자는 비용 절감 차원보다는 저출산·고령화 진전에 따른 구조적 인력난의 주요 해결책임을 여전히 시사했다.

응답 기업의 98.2%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 인원을 “유지 또는 확대(확대 38.2% + 현 상태 유지 60%)할 계획”이라고 답했으며, 확대 시 평균 채용 계획 인원은 6.5명으로 응답했다.

특히, 향후 3년 간 고용허가제 수요 전망에 대해 묻는 질문에 증가 55.5%(크게 증가 7% + 다소 증가 48.5%), 현 수준 유지 41.7%로 나타났고 감소는 2.8%(다소 감소 2.6% + 크게 감소 0.2%)에 불과하였다. 이는 중소기업 두 곳 중 한 곳 이상이 앞으로의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응답 업체 중 60.8%는 “기존 활용 근로자와 동일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인력 관리 측면에서, 동일 국적 근로자를 채용함으로써 경영효율성을 중요하게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기타 의견으로 성실성 및 인성(8.7%)을 꼽았다. 외국인근로자 선정 단계에서 성실성 및 인성을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직접 고용한 경험 또는 주변 추천을 바탕으로 국가를 선정한다고 전했다.

한편, 2023년 9월부터 시행한 K-point E74 애로사항으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인프라 부족(27.4%) ▲제반 행정비용 부담(20.8%)이 주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 ▲서류 절차 및 기관(출입국사무소, 고용센터 등) 이용 불편(12.5%)을 제기하며, 행정절차의 편의가 개선될 필요성을 시사했다.

주 4.5일제에 대해 전체 42.1%는 “납기 준수 어려움”, 24.1%는 “인건비 부담 및 비용 상승(일부 오프쇼어링 고려)”으로 답하며 제도 시행 시, 사업체 운영에 애로가 있음을 내비쳤다. 이외 기타 의견으로 ▲현실적 시행 불가능(4%)이라 단언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체의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면서 “고용 계획이 유지·확대되는 만큼 고용허가제의 안정적 운영으로 인력 수급이 적시에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한편, 주 4.5일제 도입 시, 근로시간 축소는 중소기업에게 생산량과 매출 하락으로 직결될 뿐만 아니라 노동투입량 부족으로 납기 준수에 대한 우려가 클 수 밖에 없다”면서 “부족한 인력을 연장근로로 보전할 경우 추가 인건비 발생으로 경영여건은 악화될 것”이라며 “제도 논의에 앞서 업종·규모별 특성과 현장의 목소리가 고려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면서 #“부족 #인력 #연장근 #보전할 #경우 #인건비 #발생 #경영여건 #악화될 #향후 #3년 #고용허가제 #수요 #전망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