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유통·실수요업계, 3개월 연속 밀 출하가 인상 가능성에 ‘긴장’

가격 2025-10-23

스테인리스(STS) 업계가 3개월 연속 밀 출하가 인상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유통 판가가 출하가 수준으로 아직 온전하게 인상되지 않은 가운데 올해 1분기와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STS 업계에 따르면 STS밀은 11월 가격 인상을 저울질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원료 재고분 대부분이 달러당 1,300원 후반대 이상으로 치솟은 3분기 이후 매입분이고 최신 원재료는 달러당 1,400원 이상 시점에서 매입하는 등 원가 부담이 높아졌다.

더구나 니켈 가격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톤당 1만 5천 달러 전후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환율 부담 상쇄분이 없으며 페로크로뮴 분기 가격과 몰리브데넘 가격 강세 등으로 환율 외로도 생산자 부담이 쌓이고 있다.

 

이에 STS밀은 9월 톤당 10만 원 인상(300계)에 이어 10월에도 톤당 5만 원을 인상했으나 추석 연휴 등을 감안해 인상 필요분을 모두 적용하진 않았단 입장이다. 10월 출하가 통보 당시 STS밀 관계자는 “향후에도 환율 및 원료 가격, 수급 동향 등 국내외 시장의 주요 변수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지속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며 원가 부담이 지속된다면 대응(인상)에 나설 수 있음을 에둘러 표현하기도 했다.  만약 11월에도 STS밀 출하가 인상이 결정되면 올해 1분기(1~3월)과 같은 3개월 연속 출하가 인상이된다. 이에 STS 유통업계와 STS 실수요 시장에선 최소한 속도 조절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STS 유통판가와 STS 강관, STS 후판 등의 판가는 최근 원재고 인상 폭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10월 초중순 포스코산 STS304 냉연강판은 톤당 325만~330만 원 수준으로, 9월과 10월 출하 가격 수준을 감안하면 최소 톤당 335만 원 이상 가격에 맞쳐져야 하지만 톤당 330만 원 거래도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장기 연휴 효과와 장마, 수요 침체 등이 겹친 영향이다. STS 강관 가격도 9월 일부 업체들의 인상 시도가 있었지만 온전히 반영하지 못해 10월에는 추가 인상이 필요함에도 시도를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STS 유통업계와 STS실수요 업계는 11월에도 밀 출하가격이 인상되면 하류 시장이 받는 충격이 더 클 것이라고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나 올해 1분기, 3개월 동안 300계 출하 가격이 총 30만 원(월별 10만 원 인상) 하는 동안, STS 유통사와 STS실수요사는 수요 부진 및 수입재와의 가격 경쟁으로 소재 매입 가격만 오르고 판가는 인상하지 못한 바 있다. 때문에 유통업계와 실수요업계는 1분기 같은 상황을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류 업계가 9~10월 인상 폭을 상당 부분 반영할 때까지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TS밀 입장에선 3분기 글로벌 STS가격 급등 흐름에도 불구하고 국내 출하가를 시장 상황을 고려해 동결 또는 일부 인상하며 이미 조정을 해왔다는 입장인 가운데, 월말까지 시장 흐름 및 변수를 확인해 11월 출하 가격을 최종 통보할 계획이다.    

 

#sts #강관 #가격 #9월 #일부 #업체들 #인상 #있었지만 #온전히 #반영하지 #10월 #필요함 #이러 #상황 #유통업계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