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장동향-후판] 잠정관세 이후 수입재 위축 지속?
국내 후판 유통시장이 반등 없이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산 수입이 점차 감소하며 국산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있지만, 가격은 여전히 약보합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관세 여파와 재고 소진 속도, 수요 부진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산 정품 후판 유통가격은 톤당 90만 원 수준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입대응재는 80만 원 중반선, 중국산 등 수입재는 80만 원 초중반선으로 집계됐다. 연휴 이전 대비 큰 변화는 없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잠정관세의 영향으로 수입 물동량은 줄어드는 추세다. 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4만90톤으로, 전월 대비 56% 급감했다. 특히 4월 수입량은 지난 2022년 9월 3만6천 톤 이후 가장 낮은 월간 수입 실적으로, 업계에선 “문 닫히기 전 마지막 물량”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유통가격이 쉽게 반등하지 못하는 배경에는 1분기에 대량 유입된 저가 수입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반덤핑 예비판정을 앞두고 일부 업체들이 물량을 선제 확보하면서, 유통시장에는 상당량의 중국산 저가 후판이 풀려 있는 상황이다. 이 물량이 모두 소진되기 전까지는 약보합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최근 유통업계에서는 관망세가 강화되고 있다. 급격한 가격 반등은 없지만, 향후 수입재 공백으로 인해 국산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국산 수요 회복과 가격 상승을 기대한다”라며 “국내 수요 자체가 줄어들었지만, 수입재 위축에 따른 국산 수요 확대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