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장동향-열연강판] 열연 가격, 하락은 멈췄지만…반등의 조건은 ‘무역장벽’
5월 중순, 국내 열간압연강판 시장이 조심스러운 관망세 속에 약보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제조사들은 가격 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내수 수요가 회복되지 않고 수입재 가격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유통가격은 뚜렷한 상승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수요는 답보 상태고, 수입재는 여전히 유입되는 모습”이라며 “시장 가격은 급변하지 않지만, 하방 압력도 상당하다”라고 말했다.
유통시장에서는 가격 상승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단기적인 반등을 단언하긴 어렵다는 시각이 존재하는 모습이다. 특히 수입재의 물리적 유입이 지속되는 한, 국산 가격 방어선도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업계는 6월 이후 예정된 반덤핑 예비판정 결과에 시장 흐름의 분기점이 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유통가격은 전반적으로 정체 흐름을 보이고 있다. 국산 정품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입대응재는 70만 원 중후반, 중국산을 중심으로 한 수입재는 70만 원 초중반까지 형성되어 있다.
중국산 오퍼가격도 여전히 낮다. 최근 중국산 열연강판 오퍼는 톤당 460달러 중반대로 소폭 반등했지만, 절대 가격 수준이 낮아 여전히 국내 시장에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환율이 1,380원대까지 내려앉으며 수입원가 부담도 다소 완화된 상황이다.
업계는 6월 이후 반덤핑 예비판정에 따라 수입재 유입 경로가 달라질 경우 국내 유통가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수입 규제가 강화될 경우 그간 저가 수입재에 눌려 있던 국산 가격에도 반사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가 뚜렷하게 살아나진 않았지만, 현재 가격이 바닥이라는 인식은 점차 확산하고 있다”며 “예비판정을 계기로 시황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