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장동향-후판] 줄어든 수입, 눌린 가격…후판 반등, 이제부터 시작될까
5월 중순, 국내 후판 시장이 보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산 수입재가 줄어들고 있지만, 유통가격은 여전히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잠정관세 시행, 유통 재고, 수요 정체가 맞물리면서 시장 전반은 뚜렷한 변곡점 없이 관망 국면을 유지하는 분위기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산 정품 후판 유통가격은 톤당 90만 원 초반 수준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입대응재는 80만 원 중반, 중국산 등 수입재는 80만 원 초중반선으로 집계되고 있다. 4월 말 연휴를 기점으로도 가격 흐름에 큰 변화는 감지되지 않았다.
반면 수입 물량은 눈에 띄게 줄었다. 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4만90톤으로, 전월 대비 56% 급감했다. 이는 2022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월간 실적이다. 업계 일각에선 “문 닫히기 직전 마지막 물량”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처럼 수입재 유입은 꺾였지만, 유통시장의 반응은 조심스럽다. 1분기 대량 유입된 저가 수입재가 시장에 여전히 남아 있어서다.
반덤핑 예비판정을 앞두고 일부 업체들이 서둘러 물량을 들여오면서 유통시장에는 상당한 저가 재고가 풀린 상태다. 이 재고가 해소되지 않는 한, 유통가격의 실질적인 반등은 쉽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수요업계 역시 보수적인 구매 전략을 유지 중이다. 건설·기계 등 주요 수요처는 필요한 물량만 선별 구매하고 있으며, 시장 전반에는 '가격 탐색'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과 같은 수요 없는 상승 반복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다만 업계는 수입재 재고가 1~2개월 내 점차 정리되면 유통 질서가 국산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는 이제 막 효과를 내기 시작한 단계”라며 “지금은 가격이 눌린 상태지만, 하반기부터는 국산 유통가가 반등 흐름을 타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