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 통상애로 관련 범정부 회의·업계 간담회 연이어 개최
정부가 철강과 기계 등 업종의 통상 현황을 확인하는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테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정보 부족과 원자재 비용 부담 등 업계의 고충을 파악하고 관련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지난 22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통상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TF’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기획재정부 김범석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주재한 가운데 과학기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등 주요 부처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 정부는 미국 관세 관련 주요 수출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원스톱 관세 대응 지원본부」를 중심으로 현장을 방문해 철강·기계·화장품 등 다양한 업종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며 통상 정보 부족, 계약 지연·보류·취소, 원자재 등 비용 부담, 신규 시장 발굴 어려움 등 고충을 파악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기업의 불안감 해소 및 애로 해결을 위해 유관기관과 함께 수출 지원제도를 적극 안내하는 등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 애로 발굴 및 신속한 해결을 위한 릴레이 현장 방문을 지속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1일에도 기획재정부는 철강·기계 산업 중심지인 충남 아산 국가산업단지 고대·부곡지구에서 수출기업 애로 해소 지원을 위해 ‘관세 대응 원스톱 수출 119’ 간담회를 개최했다.
해당 간담회는 수출기업의 관세 관련 애로에 신속히 대응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기획재정부의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 조직과 기능을 강화·개편한 ‘원스톱 관세 대응 지원본부’의 두 번째 현장 방문이다.
이날 간담회에 기업 측에선 동국제강과 KG스틸, 삼환강업, 대한피엔씨, 대한전선 등이 참여했다. 참석기업들은 정부의 對美 관세 관련 공동 대응 및 지원 요청, 원자재 확보를 위한 수입 지원, 해운 물류비·바이어 발굴 등 마케팅 지원과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애로를 건의했다.
이에 대해 관세 대응 지원본부는 각 기관의 주요 수출 지원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동준 부단장은 “최근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철강 산업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아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관세 피해 기업이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원스톱 관세 대응 지원본부’를 중심으로 적극 뒷받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