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산 눈치에 허리 휜다...컬러강판가, 2년째 곤두박질

가격 2025-05-26

 

컬러강판 가격의 하락세가 2년째 지속되고 있다. 업계는 꾸준히 가격 인상을 시도중이나, 번번히 막히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확대된 중국산 유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본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내수 시장에 유통되는 컬러강판 톤당 가격이 지난 2023년 6월 국산기준 159만원에 도달한 이래로 2년째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톤당 가격 150만원대에 진입한 국산 컬러강판 가격은 같은해 11월 146만8,000원을 기록하며, 140만원대에 진입하더니, 2024년 9월 138만2,000원으로 집계되면서, 130만원대를 맴돌았다. 올해들어서도 하락세는 계속돼 현 시점 120만원 후반선을 서성이는 형국이다.  

수입산 역시 지속적인 하락을 보이며, 국산 제품과 동향을 같이했다. 다만, 국산 가격이 150만원 중후반대일때 국산-수입산 가격 간극이 10만원 이상이었던 것과 달리, 현재는 8~9만원 가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가격 추이와는 달리, 그간 업계는 지속적으로 제품가격 인상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가격이 내려앉은 원인에 대해 업계는 수입산의 동향을 따라간 결과라고 보고 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입산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 역시 지방정부 부채의 비율이 매우 높아 건설경기가 침체돼 현지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가 수출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보조금 지출까지 확대하고 있다 보니 국내로 유입되는 제품가격이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건재시장에 유통되는 수입산 컬러강판이 25%이상인 만큼, 국산도 움직임을 맞출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사실, 국내로 유입되는 중국산 컬러강판 물량 자체는 지난 2022년 2분기 이래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철강협회가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9만5,695톤을 기록했던 컬러강판 수입은 2023년 1분기 4만6,471톤으로 나타나며 4만선을 맴돌더니, 올해 1분기 3만4,382톤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는 중국산의 경쟁력 약화가 아닌 국내 건설 경기 침체라는 원인으로부터 기인하다. 컬러강판 8대 제조사(동국씨엠·KG스틸·포스코스틸리온·세아씨엠·아주스틸·디케이동신·디씨엠·비엔스틸라)를 대상으로 한 본지 집계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지난해 총 105만 5,700톤의 컬러강판을 판매하며, 전년대비 0.1% 약세를 보였다. 해당 실적은 지난 2008년 이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내수 시장규모가 축소돼 수입산 유입도 자연히 줄었다는 분석이다.

낮은 수요로 인해 마진율이 줄은점도 수입산의 존재감을 강화시켰다. 한 컬러강판 제조업체 관계자는 "저수요 국면으로 인해 가격 인상시도가 번번히 무산돼 제품당 마진율이 1%대로 주저앉았다"며 "가격 인상을 할 수 없다면, 원가를 낮춰 마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수입산의 매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환율 하락으로 인한 수요가들의 가격 인하 압박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5일을 기점으로 원-달러 환율은 1,300원대에 진입하며, 현재 1360원대에 도달한 상황이다. 환율이 급격히 하락하자, 수요업체들은 꾸준히 가격 인하를 요구중이다. 하지만, 관계자는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은 1~2달 전 출하된 물량"이라며 "출하시점을 고려하지 않고 현행 환율에 맞춰 가격을 인하한다면, 공급측에서는 손실이 생길수 밖에 없다" 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환율의 등락이 너무 급격했던 만큼, 환율이 다시 솟을 수 있기에 잠시 관망하고 싶음에도, 가격 인하 요구가 빗발쳐 머리가 아픈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제품을 수입산으로 사용하는 것도 컬러강판 가격에 하방압력을 가하고 있다. 국산 대비 수입산의 가격이 열연강판 5~6만원, 냉연강판 7~8만원 만큼 저렴하다보니, 완제품의 가격도 꾸준히 하락한다는 설명이다.

이런 상황 속 국산 소재를 사용해 제품을 납품하는 업체들이 울상인 상황이다. 특히 최근 수입산 열연강판 반덤핑(AD)를 대비해 국내 업체 다수가 반제품 공급망을 국산으로 바꿨다 보니, 가격 인상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한 컬러강판 제조업체의 관계자는 "가격에 하방압력이 꾸준히 가해지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 #수출 #시장 #점유율 #확보 #보조금 #지출 #확대 #보니 #국내 #유입되 #제품가격 #하락 #수입산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