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네팔 STS 완제품 업계에 ‘BIS’ 소재 인증 미비로 통관 차단
인도가 BIS(Bureau of Indian Standards Ac/철강 통관 부문 필수 인증제도) 인증 미달을 이유로 네팔산 스테인리스(STS) 강재와 강재 적용 제품에 대한 통관을 금지했다. 국내 STS 시장에서도 BIS 인증에 대한 경계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팔 현지 매체인 피스칼 네팔(Fiscal Nepal)은 지난 6월부터 네팔산 STS 소재 제품의 인도향 수출이 BIS인증 미비를 이유로 통관 거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전까지 BIS인증이 없더라도 수출할 수 있었으나, 올해 6월부터 STS소재에 대한 BIS인증을 요구하면서 인증을 받지 못한 대부분의 네팔산 STS 소재 제품에 통관이 거부됐다고 밝혔다.
특히 완제품이 아니라 원소재인 STS에 대한 BIS 인증 미비를 통관 거부의 주요 사유로 든 것으로 알려졌다. STS 소재부터 인도의 BIS 인증을 받아야 완제품 통관을 검토하겠단 의미로, 인도가 STS를 소재로 사용하면서도 완제품만 BIS인증을 받는 수입품은 통관을 거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인도정부는 6월 16일 선적(수입)분부터 철강 중간재에도 BIS를 확대해 시행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에 네팔에서 생산되어 지역 최대 시장인 인도로 수출하던 네팔 내 STS 물탱크, STS 가정용품 업체가 도산 및 집단 해고 위기에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피스칼 네팔은 1만 2,000여 명의 관련 업계 실업자가 발생할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일부 네팔 STS 가정용품 업체들은 생산량의 90%를 인도로 수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인도의 BIS 제도 실질 적용 움직임에 국내 STS 업체들도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 인도 상공부 산하 산업무역진흥청은 ‘2025 스테인리스 강관(파이프) 및 튜브 품질 관리 명령서’를 발행하며 8월 1일부터 모든 스테인리스 강관류(파이프)에 대해 BIS 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시켰다.
BIS 인증을 받지 못한 스테인리스 강관 및 튜브는 8월부터 현지에서 생산과 판매, 거래, 수입, 재고 축적이 불가능해진다. 예외로 인정하는 대상은 상업적으로 판매하지 않을 연구 및 개발 목적의 500kg 이하 물량 등이다. 이는 이미 적용되고 있는 STS 강판 부문에 이어 STS 강관을 직접 수출 및 소재로 활용하는 시장에도 BIS인증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단 의미다.
특히 인도의 BIS 인증은 수출업자 입장에서도 현지 업체와 거래를 위해 사전에 인증받아야 한다. 인증 신청 접수 후 6개월 이내 인증서 발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인증 기관의 추가 서류 요구 및 현지(수출업자) 실사 여부에 따라 6개월 이상 소요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해 대외경제연구원은 “BIS 인증 대상으로 지정되면 사전에 인증 절차를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조언한 바 있다. 올해 초부터 관련 사항을 대비하지 않는 국내 STS 업체들은 인도향 직접 수출과 수출 고객사로의 판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인도향 스테인리스 강재 수출은 후판 8,337톤, 열연광폭강대 2만 6,729톤, 냉연광폭강대 4만 2,887톤, 용접강관 917톤, 무계목강관 261톤, 열연박판 299톤, 냉연박판 446톤을 기록한 바 있다. STS소재 사용 제품의 인도향 수출은 확인이 어려운 가운데 국산 STS 강대의 올해 상반기 수출은 BIS인증 확대 시행을 앞두고 전 제품에서 증가(전년 동기 대비 19.6~349.8%)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