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관, 공장 투자 보다 재무안전성에 집중
최근 구조관 제조업계가 공장 투자 보다 재무적 안전성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 경기 침체에 내수판매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올해 소재 가격 상승을 통한 가격 인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구조관 업계는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으로 비용을 최소화해 제조원가를 낮추는 방법을 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품 가격 하락 시기엔 제품 판매 이익은 물론 치열한 경쟁으로 적자로 돌아선다면 택할 수 있는 방법은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대다수의 구조관 업체들의 회사채 발행은 기존 채무상환을 목적으로 발행됐다. 시설투자 목적으로 발행한 회사채 비중은 크게 줄었다. 이는 경기부진 등으로 강관 제조사들의 자금 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국내외 정치·안보 상황을 감안할 때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해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보다 재무구조 안정화를 우선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적 악화에 신용도가 하락해 회사채 발행마저 여의치 않는 기업들은 그동안 쌓아놨던 유보금을 사용하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구조관 업체들 중 자금난에 시달린 업체들은 내부 비용을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특히 기초체력이 떨어진 업체들은 신용등급 추락을 걱정하고 있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기업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웃돈(고금리)을 주고 돈을 빌려야 한다. 신용등급 악화는 곧 이자 비용 부담으로 이어져 사업 악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적자판매를 지속할 경우 기업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전보다 소재 가격이나 제품 가격 인상구간이 예상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