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강봉강) 수출 호조 속 수입재 증가·제품價 약세 지속

시황 2025-10-14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압박 속에서도 수출시장 다변화로 전반적인 수출 증가세가 이어진 와중에도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 수입재 증가세도 지속되면서 특수강봉강 시장의 제품 가격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우선 수요 부문을 살펴보면 9월 주요 제조업 중 석유화학, 철강, 이차전지 수출은 부진했으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기계, 선박, 석유제품, 가전 수출은 모두 증가하면서 제조업 부문 수요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건설 및 중장비 관련 수요는 감소세가 지속됐다. 국내 주택시장과 공공건설 관련 투자가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한 데다, 유럽과 인도 등의 경기 회복에도 북미와 아시아, 대양주의 건설 및 광산업 부진에 건설기계 생산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감소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건설 경기 장기 침체와 동시에 저가 소재 수입도 지속됐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9월 특수강봉강 수입은 6만4,955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9% 증가했고, 중국산 수입은 5만5,381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9% 증가했다.

또한 중국산 소재 외에도 중국과 아세안 등지에서 각종 가공부품 및 금형, 완제품 등의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국내 주요 전방산업의 부진도 지속되고 있다.

건설 부진과 수입재 증가라는 ‘이중고’ 속에 10월 제품 가격을 동결한 특수강봉강 업계에서는 시장 다변화를 위한 수출 호조에도 중국산 저가 소재 및 부품의 국내 시장 잠식이 지속되는 한 4분기 제품 가격 약세에 따른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건설 #부진 #수입재 #증가라 #‘이중’ #10월 #제품 #가격 #동결 #특수강봉강 #업계 #시장 #다변화 #수출 #호조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