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정책 부재 여전, 추가 하락 '빨간불'
11월 첫째 주 국산 철근 유통시세(SD400, 10mm)는 톤당 67~68만원으로 전주 대비 보합 출발했다.
새해 70만원으로 출발했던 철근 유통시세는 1분기 60만원 중후반대로 떨어진 뒤 5월 75만원까지 급등하며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내 다시 급락하며 70만원 선 안팎에서 장기 박스권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현대제철이 추석 연휴 직후인 지난달 13일(월)부터 유통향 철근 가격 인상(75만원)에 나섰으나 시황 반영은 전무하며 오히려 2~3만원 수준의 급락장만 연출된 바 있다.
이달에도 시황 개선 여지가 없다는 관측이 여전히 지배적인 가운데 현대제철뿐 아니라 여타 제강사 가격 정책마저 부재하면서 시세는 더욱 뒤로 밀릴 수 있다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한편, 우리 정부는 공급 과잉과 산업 성숙으로 위기에 처한 철강 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철근 등 범용재 설비 축소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철근은 수입재 침투율이 3% 수준으로 낮고 기업의 자발적 설비 조정 노력이 미진해 설비 조정 중점 대상으로 선정됐다.
기업이 자율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 철근 설비 조정에 나서도록 세제 등 각종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한편, 국회에서 추진하는 철강산업 특별법 등을 통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밖에도 형강·강관 등 기업의 자율적 설비 조정 계획이 있는 경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지원을 검토하고, 열연·냉연·아연도금 강판 등 수입재 침투가 높은 품목은 수입 대응을 선행한 뒤 단계적으로 설비 감축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