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강선류 생산·판매 전년比 11.5%, 7.2% 감소
일부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호조 및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공급망 재편에 따른 설비 투자 확대에도 선진시장의 건설 경기 침체, 국내 자동차 생산 감소와 주력산업 부진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 건설 경기 장기 침체 등으로 인해 1분기 강선류 생산 및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강선류 생산 및 판매는 각 30만9,038톤, 29만1,756톤으로 전년 대비 11.5%, 7.2% 감소했다. 내수판매는 23만2,723톤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고, 수출은 5만9,033톤으로 전년 대비 17.4%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일부 품목이 기저효과를 보인 내수에 비해 선진시장 부진의 타격이 큰 수출 감소 폭이 더욱 컸다.

품목별로 보통강강선의 경우 기타강선은 생산 및 판매 물량이 없었고, 철선과 아연도금철선, CHQ강선 생산은 각 3만8,950톤, 9,293톤, 3만9,34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20.5%, 10.7% 감소한 반면 경강선과 아연도경강선 생산은 각 4만6,839톤, 1만1,13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 65.1% 증가했다. 판매는 아연도금철선, CHQ강선은 각 6,891톤, 4만60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7.8% 감소한 반면 철선과 경강선, 아연도경강선 판매는 각 2만9,484톤, 4만6,082톤, 1만1,80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8.1%, 185.3% 증가했다.
각 품목별 내수는 철선과 경강선, 아연도경강선은 각 2만9,484톤, 2만3,633톤, 9,62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13.1%, 242.8% 증가한 반면 아연도금철선과 CHQ강선은 각 4,842톤, 4만354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3%, 7.9% 감소했다. 수출은 철선은 물량이 없었고, 아연도금철선과 경강선, 아연도경강선과 CHQ강선은 각 2,049톤, 2만2,449톤, 2,180톤, 25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3%, 3.4%, 63.9%, 1.2% 증가했다.
철선의 경우 소재 공급 차질에도 기저효과로 생산은 감소했으나 판매가 증가했고, 아연도금철선과 CHQ강선은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생산과 판매가 모두 감소했다. 경강선과 아연도경강선은 국내외 자동차 생산 호조와 기저효과로 인해 생산과 판매가 모두 증가했다. 그리고 건설 부문이 부진했던 내수에 비해 신흥국들의 인프라 부문 호조에 힘입어 수출이 상대적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보통강강선 전체 생산 및 판매는 각 14만5,559톤, 13만4,86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8.1% 증가했고, 내수판매와 수출은 각 10만7,936톤, 2만6,93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7.7% 증가했다.
특수강강선의 경우 기타특수강선은 생산 및 판매 물량이 없었고, PC강선과 비드와이어, (특)CHQ강선 생산은 각 1만6,326톤, 1만5,500톤, 11만6,11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4%, 24.0%, 17.7% 감소한 반면, STS강선은 1만5,53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판매는 PC강선과 비드와이어, STS강선과 (특)CHQ강선이 각 1만6,064톤, 1만4,867톤, 1만5,600톤, 11만35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9%, 1.3%, 19.2%, 13.6% 감소했다.

내수의 경우 비드와이어는 6,2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9% 증가했으나 PC강선과 STS강선, (특)CHQ강선은 각 1만1,124톤, 7,030톤, 10만433톤으로 전년 대비 45.0%, 6.9%, 10.6% 감소했다. 수출은 STS강선은 7,83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나 PC강선과 비드와이어, (특)CHQ강선은 각 4,940톤, 9,400톤, 9,92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5%, 41.3%, 35.9% 감소했다.
건설 부문 장기 침체와 파스너 완제품 수입 증가의 영향으로 인해 PC강선과 (특)CHQ강선의 생산과 판매는 모두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보였다. STS강선은 국내 건설 경기 침체로 내수판매는 부진했으나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증가로 수출은 증가했고, 비드와이어는 기저효과로 내수판매는 증가한 반면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수출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특수강강선 전체 생산 및 판매는 각 16만3,479톤, 15만6,88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17.3% 감소했고, 내수판매 및 수출은 각 12만4,787톤, 3만2,1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17.4% 감소했다.
한편 2분기 이후에도 국내 건설 경기 침체와 함께 자동차 생산이 둔화되고, 주력산업 부진으로 기계 및 플랜트 부문 수요도 감소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주의 강화로 대외 여건도 악화되면서 강선류 생산 및 판매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