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美 관세 인상에 구리산업 ‘비상등’…정밀 부품 산업 직격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오는 8월 1일부터 자국이 수입하는 구리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 구리 시장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으며, 특히 인도 수출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에 이어 인도의 3대 구리 수출국 중 하나로, 2024년 기준 미국 내 구리 수요의 53%가 수입에 의해 충당되고 있다. 인도는 2024년 한 해 동안 총 21억 달러 규모의 구리를 전 세계에 수출했으며 이 중 약 3억 달러(14%)가 미국으로 향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구리 원자재뿐 아니라 고순도 구리를 기반으로 한 반도체 및 정밀 기기 부품 등에도 적용된다. 인도는 고순도 구리 생산시설이 없어 일본 등에서 전량을 수입해 이를 가공한 후 미국 등에 수출해 왔으나 이 역시 고율 관세의 적용 대상이 되면서 관련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고순도 구리는 반도체, 정밀 기기, 고주파 통신 케이블, 전기차 모터, 항공우주 기기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저순도 구리는 변압기, 건축용 전선, PCB, 태양광 패널 등에 주로 쓰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인해 인도의 대미 구리 및 관련 제품 수출이 단기적으로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고순도 구리 수입량 또한 줄어들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긴급 대응에 나섰다.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긴급 대책단을 발족하고 당장의 산업 피해 최소화와 중장기 대응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인도표준국(BIS)은 이미 2024년 말부터 구리를 품질관리명령(QCO) 대상에 포함시켜 품질과 유통을 관리할 예정이었으나, 이번 사태를 반영해 세부 내용을 조정할 방침이다.
또한, 인도 정부는 고순도 구리의 안정적 공급과 기술 자립을 위해 일본 및 한국 기업과의 기술협력을 장려하고 관련 분야의 정부 R&D 예산을 확대할 것을 산업계에 요청했다. 이와 함께 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에 고순도 구리 관련 창업도 포함 시키는 등 중장기적 기술 내재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