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協, 포항제철 준공 기념우표-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기념우표 공모

업계뉴스 2025-07-21

한국철강협회가 창립 50주년 맞이하여 사료 공모와 국내 철강업의 주요 역사를 되돌아보는 뜻깊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0번째로 소개되는 우수 공모 철강 사료는 ‘1973년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 기념우표’와 ‘1988년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기념우표’다. 해당 기념우표들은 전(前) 철강협회 이광영 전무가 기증했다.

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의 증표로, 우편물을 부칠 때 우편 요금을 납부했음을 증명하는 표이다. 우표의 종류에는 일상 우편요금 납부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년간 발행하는 보통우표, 특정 사건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하는 기념우표 등으로 분류된다.

철강산업과 관련된 기념우표는 1973년 7월 3일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 기념우표와 1988년 10월 8일 제22차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기념우표 두 종류이다. 

이번에 협회로 기부된 1973년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기념우표는 액면가격 10원으로 150만 장이 발행된 바 있다. 이 기념우표에는 포항제철 공장 전경 및 전로가 표기됐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중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점하는 포항종합제철 공장은 1973년 7월 3일에 준공됐다. 포항종합제철 공장은 1970년 4월 1일 착공하여 준공한 것으로 초기 조강 생산능력은 103만 톤에 이르렀다. 

당시 체신부(遞信部/현재 우체국)는 포항종합제철 공장의 성공적인 준공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온 국민과 함께 이를 축하하기 위하여 기념우표를 발행했다. 

 

체신국이 발행한 '1973년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 기념우표'

협회에 기부된 또 다른 기념우편인 1988년 발행된 제22차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기념우표는 액면가격 80원으로 300만 장이 발행되었으며 철강공장과 쇳물이 새겨져 있다. 

국제철강협회는 1967년 철강산업의 공동연구, 정보 교류 등을 위해 창설한 세계 최대의 철강 관련 국제협력 기구다. 체신부는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 철강산업의 당당한 주역의 일원으로 서울 총회를 주관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이 기념우표를 발행했다.  

희귀 우표는 수집가들에게 자체로도 큰 가치를 가지며 꿈과 같은 존재이다. 단순한 종이 조각이 아닌,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예술이 담긴 가치 있는 아이템으로 여겨진다. 희귀 우표의 가치는 그 발행량, 상태, 그리고 역사적 중요성에 따라 달라진다.

액면가 10원인 1973년 발행된 포항종합제철 공장준공 기념우표는 1매에  현재 100배 오른 1,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액면가 80원은 제22차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우표는 20매 전지로 4,000원(액면가 1,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등 모든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이라며 “국가기간산업에 걸맞게 철강업계에서 기념우표를 많이 발행하기를 기대해 본다”고 밝혔다.  

 

‘1988년 국제철강협회 제22차 서울총회 기념우표

 

#철강산업 #관련된 #기념우표 #1973년 #7월 #3일 #포항종합제철 #공장 #준공 #1988년 #10월 #8일 #제22차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