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장동향 – 특수강봉강) 소재·가공제품 수입 증가에 시황 악화
고금리와 예산 감축에 따른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 트럼프 리스크와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대외 악재,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로 국내외 수요가 모두 악화되는 가운데 저가 소재와 가공제품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특수강봉강 시황이 악화되고 있다.
특수강봉강의 주요 전방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건설 부문은 주택시장 침체와 SOC 투자 감소로 극도로 부진한 상황에서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도 장기화되면서 국내외 수요가 모두 급감하고 있다. 또한 건설 부진은 중장비 부문의 수요 급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제조업 부문은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반도체장비 외에 자동차는 전기차 전환, 조선은 구매정책 변경으로 인해 수요가 오히려 감소했다. 산업 공동화로 인해 전기전자 부문의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며,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로 플랜트와 기계 부문 수요도 급감했다.
내수 수요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수출 수요 또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와 주요국들의 수입규제 강화,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해상 물류비용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이 겹치면서 하반기에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국내외 수요가 모두 침체된 상황에서도 저가 수입재는 오히려 증가했다. 6월 특수강봉강 수입 물량은 6만3,081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고, 중국산 수입 물량은 5만8,237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9.8% 증가했다.
특수강봉강 업계에서는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8월 이후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당분간 수요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내외 수요가 모두 부진한 상황에서도 중국산 소재와 가공제품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조속한 수입규제를 하지 않을 경우 국내 영세업체들 상당수가 부도 위기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