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관, 日·中 열연강판 잠정관세 확정에 당혹

수급 2025-09-09

구조관 제조업계가 수입산(일본, 중국) 열연강판(HR) 잠정관세 확정에 대해 당혹감을 보이고 있다. 중소형 구조관 업체들은 이번 수입 제품의 잠정관세에 대안재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판매부터 소재 수급까지 이른바 구조관 업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8일 ‘일본 및 중국산 탄소강 및 합금강 열연 제품에 대한 잠정덤핑방지관세 부과’ 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9월부터 내년 1월까지 4개월간 적용한다. 국가별 부과율은 일본이 중국보다 높다. 일본 JFE는 33.57%, 일본제철은 31.58%, 기타 공급자가 32.75%다. 중국은 바오산강철 29.89%, 벤강강판 28.16%, 기타 수출자는 33.10%가 적용된다.

이에 앞서 반덤핑 관세 예고가 확산한 지난 7~8월, 수입 열연 물량은 오히려 급증했다. 7월 수입량은 31만 톤을 넘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중국산은 두 달 만에 20만 톤을 돌파했다.

그동안 구조관의 경우 차별화가 어렵고 구색이 다양하기에 수많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생산 및 판매를 이어왔다. 그러나 이미 수년전부터 공급과잉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했지만 제품의 소재가 되는 열연, 용융아연도금강판(GI)의 인상과 인하에 따른 수익성 즉 제조마진의 수익이 아닌 소재마진의 수익으로 버텨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형 구조관 업체와 중소 업체와의 판매 경쟁력 차이가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이에 중소 업체들의 법정관리 신청이나 사업을 정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기에 제품 가격 결정권이 대형 업체들로 넘어가면서 중소 업체들은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이 필요한 상황이다.

유통업계 역시 건설 경기 침체와 고금리에 재고를 타이트하게 운영하고 있다. 유통업계도 제품 판매 가격 하락을 반기지 않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의 경우 제품 가격 상승기에 구매한 재고들의 자산 가치하락에 따른 적자발생과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제품 품질 저하 등 경영상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또 불투명한 하반기 경기회복만을 바라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재 가격 변동시기만을 기다리는 경영으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관련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 #상황 #대형 #구조관 #업체 #중소 #판매 #경쟁력 #지속적 #벌어지 #제품 #가격 #결정권 #업체들 #넘어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