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에 정비사업도 침체 단관비계용강관 업계 우울

수급 2025-10-24

최근 정부의 부동산 대책 영향에 도시정비사업(재개발, 재건축)이 지연에 단관비계용강관 판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10·15대책으로 향후 대형 건설업체들의 수주와 매출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하반기 이후 수도권 외곽에서 미분양이 확산하자 주요 건설업체들은 분양 리스크가 낮은 서울 핵심지의 정비사업에 수주 역량을 집중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평가다.

정비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하면 건설업계 타격이 예상된다. 규제 대상 지역이 전국 분양·입주 예정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불과하다. 지방 미분양 확대세로 주요 건설업체들이 수도권 핵심지의 정비사업 의존도를 높인 것이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사들의 재고자산 처분에 중고재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고금리와 경기침체로 분양 일정이 미뤄지는 등 건설업계의 자금 회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사 재고자산은 개발이나 사업부지 확보를 위해 사두는 용지를 비롯해 원자재, 가설재 등이 포함된다. 이에 장기간 적체된 재고는 운전자본 부담으로 작용된다는 점이다.

이에 단관비계용강관 업계는 판매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시중 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제품 판매를 이어갔다. 그러나 지속적인 인건비, 전기비용, 물류비용까지 전반적인 부대비용의 상승에 이전보다 판매를 통한 수익성을 얻는데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 경기 악화와 일본 수출 감소로 제품 판메에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여기에 시스템 비계 사용 확대로 단관비계용강관의 생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 #“국내 #건설 #경기 #악화 #일본 #수출 #감소 #제품 #판메 #이중 #단관비계용강관 #판매 #물량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