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30년 美 산업용 파스너 시장 연평균 약 2.9% 성장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2년 미국 산업용 패스너(Fastener) 시장 규모는 약 168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약 23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약 2.9%로 분석되며, 완만하지만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평가된다. 이 중 산업용 너트(Nut)는 ‘나사산 내장형 패스너(Internally Threaded Fasteners)’로 분류되며 전체 시장의 약 25%를 차지한다. 산업용 너트는 자동차, 건설, 항공기계 등 주요 산업에서 구조물 체결에 필수적인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며, 내구성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인식된다. 금속 재질이 전체 패스너 시장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핵심 소재로서의 지위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은 건설 및 제조업 회복세가 수요를 견인하면서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확대에 따라 정밀 체결 부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IBISWorld에 따르면, 2024년 미국 내 스크류·너트·볼트 제조 산업(Screw, Nut & Bolt Manufacturing)의 주요 수요처는 자동차(41.1%), 건설(21.9%), 일반 제조업(20.6%), 항공우주(16.4%)로 구성된다. 한편 중국 및 대만산 저가 제품과의 가격 경쟁은 여전히 시장의 주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및 맞춤형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2024년 미국의 나사형 철강제 너트 수입액(HS 코드 7318.16 기준)은 전년 대비 10.1% 증가하여 약 14억3,732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대 수입국은 대만으로, 약 4억6,492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입의 32.4%를 차지했다. 중국은 약 2억9,719만 달러로 점유율 20.7%를 기록하며 2위를 유지했으며, 일본은 약 1억6,509만 달러로 11.5%의 점유율을 보였다. 그리고 2024년 미국의 한국산 너트 수입액은 약 6,189만 달러로 전체의 4.3%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3.5% 증가해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북미 및 유럽 주요국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 국가들은 가격 경쟁력을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시도하는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미국 산업용 너트 및 패스너 시장의 유통 구조는 표준화된 대량 생산 제품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조업체들은 대형 제조사, 건설사, 항공우주 및 자동차산업 등 주요 수요 산업에 제품을 공급하며, 직접 납품뿐만 아니라 지역 유통업체 및 부품 공급업체를 거치는 간접 공급 방식도 함께 활용되고 있다. 특히 표준 제품은 대량 유통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맞춤형 또는 고부가가치 제품은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소규모 맞춤 납품 체계로 전달된다.
2025년 3월부터 시행된 미국 정부의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조치에 따라, HS 7318.16에 해당하는 철강제 너트는 국가별 면제 없이 기본 25%의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 이번 조치는 ‘용해 및 주조(Melted and Poured)’ 요건을 포함하며, 멕시코, 한국, 일본, 캐나다 등 주요 수출국에서 생산된 철강 파생 제품 모두가 대상이다. 기본적으로 25%의 관세가 적용되며, 이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주요 수출국의 제품은 가격 경쟁력 약화와 수익성 저하 압박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국 시장의 주요 인증으로는 ‘Fastener Quality Act(FQA, 1990 제정, 1999 개정)’가 적용돼 특정 금속 패스너에 대해 공인된 시험 기관에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검사 및 인증을 받아야 하며,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는 적합성 기록을 일정 기간 보관해야 한다. 시험 및 인증 기관은 ISO/IEC 국제 표준에 상응하는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특히 항공우주, 방위산업, 의료 등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에서는 강화된 품질 관리와 인증 요건이 적용된다.
국방부 조달용 산업용 너트의 경우, ‘DFARS(Defense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Supplement) 252.225-7008 및 7009’ 조항에 따라, 특수 금속(specialty metals)은 미국 내에서 용해·생산되었거나, 미국이 지정한 적격 국가(originating country)에서 생산된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상업용 패스너에는 연간 생산량 기준으로 최소 50% 이상을 이러한 기준에 맞춰 충족하면 일부 예외가 적용될 수 있으나, 군용 특수 사양 패스너에는 100% 요건이 적용되며, 상업용과는 별도의 엄격한 ‘DFARS’ 규정을 따라야 한다.
국내 파스너업계의 경우 미국 내 유통 및 공급망 네트워크를 확보하거나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 납품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더해, 국제 표준 및 미국 고유의 품질·인증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선제적 기술 개발과 품질 관리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