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차·삼성重 탑승…‘AI 팩토리’, 철강 제조 현장 바꾼다
제조 현장을 겨냥한 ‘AI 팩토리’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기존 ‘AI 자율제조’ 사업을 ‘AI 팩토리’로 전면 개편하고 올해부터 사업 규모와 참여방식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포스코를 비롯해 현대자동차,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조선 등 주요 철강 및 중공업 기업들이 작년 사업에 참여한 데 이어, 올해는 철강계열 중소·중견 벤더사까지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수요 조사에는 총 519개 기업이 몰리며, 지난해 213개의 두 배를 훌쩍 넘겼다.

‘AI 팩토리’ 사업은 공정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숙련인력 감소와 ESG(탄소중립) 대응까지 포괄하는 제조업 전환 전략이다. 기존 ‘AI 자율제조’가 주로 대기업 중심 대형 공정에 집중됐던 반면, ‘AI 팩토리’는 철강 유통, 가공, 소재 등 다층적 공급망 전반으로 적용 범위를 넓혔다.특히 산업부는 올해부터 대기업과 협력 벤더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중·소 협력 프로젝트’를 신규 추진하고, K-휴머노이드 로봇도 제조현장 실증에 투입할 예정이다. 고온·고위험 환경이 많은 철강업에선 실제 도입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정부는 이번 사업의 추진 명칭을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양적·질적 확대를 예고했다. 현재 26개 수준인 AI 접목 제조 현장의 수를 2030년까지 100개 이상으로 늘린다는 구상이다.또한 ‘AI 팩토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철강업 특화형 AI 모델 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포스코와 뉴로메카 등을 중심으로 산업 데이터 공유 및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이 논의된다. 해당 모델은 2027년부터 오픈소스로 일부 제공돼, 중소 철강업체도 AI 기반 스마트 제조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전망이다.철강업계 관계자는 “고온 압연, 용접, 도금 등 설비 작업 의존도가 높은 공정에서 AI의 도입은 공정 단축과 품질 균일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며 “특히 숙련 인력 부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AI 기반 로봇 및 분석 시스템은 불량률을 낮추고 에너지 효율도 개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산업부는 오는 5월 말부터 AI 팩토리 관련 과제 공고를 시작으로, 하반기 본격적인 실증 프로젝트에 돌입할 계획이다. 철강업계는 향후 제조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넘어, 고부가가치 제품 대응력을 끌어올리는 핵심 기술로 ‘AI 팩토리’를 활용할 방침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