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의무, 이제는 소재까지...재압연사 국산 소재 부담↑

인도 정부가 그간 완제품에만 적용되던 수입 철강의 인도표준국(BIS) 인증 의무를 반제품까지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 재압연사의 국산 공급 전환 움직임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정부는 지난달 13일(현지시간) 완제품에 적용되던 BIS 인증 획득 의무를 반제품에까지 확대했다. 이번 정책의 시행으로 국내 재압연업체가 인도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소재가 되는 열연강판을 공급하는 공장 역시 BIS 인증을 지녀야 한다.
인도는 국내 재압연 제품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다. 한국철강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컬러강판이 14만 306톤, 아연도금강판은 12만 8,682톤이 인도로 수출됐다. 이는 각각 수출국 규모 3위, 4위에 달하는 수준으로, 국내 재압연사의 의존도가 낮지 않음을 방증한다.
인도 수출이 높은 데에는 비교적 활발한 현지 건설경기와 우수한 접근성 등이 작용하고 있다. 향후에도 인도향 수출은 늘어날 조짐을 보인다. 국내 가전업체에 공급하는 가전용 강판의 수익성이 문제가 제기되며 일부 업체들이 대체 거래처로 인도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유 탓에 국내 재압연 업체에 있어 인도는 포기하기 힘든 시장이다. 이에 업계는 국산 소재 사용을 증가시켜 정책 변화에 대응할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국산 열연강판 대다수를 생산하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는 BIS 인증을 취득한 상황이다. 반면 국산과 더불어 재압연사가 주요 공급망으로 이용해 온 일본산 열연강판의 경우 인도 BIS를 취득한 공장이 희박한 상황이다. 만약 일본산 열연강판으로 제조된 제품을 인도로 수출할 경우 차질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7월 중하순쯤 열연강판 예비판정이 나타날 전망이 짙어지며 일부 재압연사들은 국산 공급 물량을 늘리는 흐름이다.
한편, 최근 인도 정부가 해당 정책을 연기할 수 있다는 소식이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쿠마라스와미 인도 철강부 장관은 지난 7일 “이미 도착한 물량 및 도착 예정인 물량의 통관에는 차질이 없도록 시행 일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 철강부 자문위원도 “정책 연기 결정이 이미 내려진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아직 공식적인 연기 발표는 나타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