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반덤핑 효과에 반등 신호 켜졌다
국내 후판 시장이 9월 들어서도 가격선을 굳건히 지켜냈다. 반덤핑 최종 판정으로 저가 수입재 유입이 사실상 차단되면서 국산 중심의 방어 기조가 강화됐다. 거래는 여전히 관망세를 보이고 있으나, 업계 전반에서는 “더 이상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철강업계는 이 같은 안정세 위에 제조업계의 공식적인 가격 인상 발표 가능성이 맞물릴 경우, 국산 정품과 수입대응재 모두 추가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 바닥을 확인한 시장은 이제 반등 신호를 기다리는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업계 관계자는 “반덤핑으로 수입이 차단된 이상 수급이 빠듯해지고 있어, 90만 원선을 지지하는 흐름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9월 초순 후판 유통가격은 국산 정품이 톤당 90만 원 초반, 수입대응재는 80만 원 후반, 중국산 등 수입재는 80만 원 초중반을 형성했다. 전월과 큰 차이는 없지만, 시장에서는 “반덤핑 관세 확정이 수입재 억제 효과를 내면서 바닥 인식이 단단해졌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저가 물량이 소진되는 국면에서 가격 방어 심리가 강화된 점이 뚜렷하다.
시장 기대감은 점차 상방으로 기울고 있다. 국산재는 90만 원 초반대를 지지하는 가운데 90만 원 중반을 향해 나아가는 분위기이며, 수입대응재 또한 심리적 저항선이던 90만 원 안착을 노리고 있다. 업계는 “수입재 물량이 줄고, 대체재 가격이 올라가면서 결국 국내 유통가격도 연쇄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다만 내수 수요 부진은 여전히 부담 요인이다. 건설과 조선, 기계 산업 전반에서 신규 발주가 지연되고 있어 당장의 거래 회복은 더디다. 다만 업계는 “공급 측면에서 반등 조건이 마련된 이상, 수요만 받쳐준다면 가격 반등은 시간문제”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