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연강판] “바닥 찍었다”…가격 반등 기대감 커져
국내 열연강판 시장이 9월 초순에도 가격선을 굳게 지켰다. 반덤핑 예비판정 이후 저가 수입재가 자리를 잃어가며 가격 방어 심리가 한층 강화됐다. 거래량은 여전히 많지 않지만, 유통업계에서는 “바닥 인식이 확고해졌다”는 평가가 퍼지며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9월 국산 열연강판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중반대를 형성한 가운대 수입대응재는 70만 원 후반대를 기록했다, 중국산 등 수입재는 70만 원 중반을 형성했다. 내수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은 멈췄고, 반덤핑 효과가 공급 구조를 바꾸면서 ‘하락 리스크 차단’이라는 진단이 뒤따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가격이 더 떨어질 가능성은 줄었고, 수입대응재도 곧 80만 원 선을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통시장의 움직임도 분명하다. 정품 유통가격은 80만 원 중반대 안착을 목표로 가격을 다지는 중이며, 수입대응재 역시 뒤따르는 흐름을 보인다. 저가 재고 소진이 가시화되면서 “가격이 일단 안정권에 들어선 이상 추가 상승을 준비하는 분위기”라는 설명이 나온다. 중국산 오퍼가 줄고 대만·베트남 등 대체 수입재 가격이 이전 대비 소폭 높아지면서 국내 유통가격 역시 상방 압력이 커진 점도 반등 기대를 뒷받침한다.
수요산업의 흐름은 여전히 변수다. 건설·자동차·기계 업종 모두 신규 발주가 더딘 상황이지만, 업계는 “수요 회복만 더해진다면 반등은 시간문제”라고 본다. 조선용 소재 등 일부 대형 프로젝트 납품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하반기 중에는 내수 회복세와 맞물리며 상승 모멘텀이 분명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시장 안팎에서는 가격 반등의 조건이 충족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선이 무너질 가능성은 줄었고, 저가 수입재의 빈자리를 국산이 채우는 구도가 굳어지고 있다”라며 “수요가 회복되는 순간 본격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