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세아창특, 中 탄소합금강 봉강 AD 제소 임박
주력산업 경기 둔화와 건설 경기 장기 침체,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대외 악재로 특수강봉강 수요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저가 중국산 수입재의 국내 시장 잠식이 심화되면서 특수강봉강업계가 강력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특수강봉강 업계에 따르면 세아베스틸(대표이사 서한석)과 세아창원특수강(대표이사 이상은)은 빠른 시일 내에 중국산 탄소합금강봉강에 대한 반덤핑(AD) 제소를 실시할 계획이다.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AD 제소에 나서는 것은 최근 국내 산업계의 위기 및 세계적인 흐름과 무관치 않다.우선 국내 특수강봉강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최근 2~3년 동안 수요가 정체되는 가운데 중국산 수입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상승하고 있다.철강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국내 특수강봉강 수요는 294만1,103톤으로 전년 대비 10.1% 감소했다. 국내 특수강봉강 수요는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1년 큰 폭으로 반등한 후 290만 톤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지난해 국내 특수강 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한 이유는 건설 및 중장비 부문의 수요 감소, 철강 및 석유화학, 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경영위기에 따른 산업기계 및 플랜트 부문 수요 부진이 결정적이었다.

수입재의 경우, 전체 수입 물량은 2018년 이후 80만 톤 이하, 중국산 수입 물량은 70만 톤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에는 수입재 점유율은 20~25%, 중국산 점유율은 10% 후반~20%대 초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2022년 이후 수입재와 중국산 점유율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저가의 중국산 수입재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국내 특수강봉강 업계는 제품 판매 감소와 가격 약세에 따른 수익성 악화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이와 같이 팬데믹 이후 중국산 수입재의 시장 잠식이 다시 심화되면서 국내 특수강봉강업계에서는 수입재 대응을 위한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특히, 올해 1분기 특수강봉강 생산과 판매가 전년 대비로도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업계에 위기감이 커진 것이 결정적이었다.실제로 1분기 특수강봉강 생산은 65만3,24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고, 판매는 58만4,26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3%나 감소했다. 내수 판매는 49만7,82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2% 감소했으나 수출은 8만6,43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고, 재고 또한 34만1,73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1% 늘었다. 수입은 17만4,92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으나 수입재 점유율은 26.0%로 전년 동기 대비 3.5p 상승했다.국내적으로 수입 규제에 대한 요구가 거세진 가운데 국제적으로도 중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 강화 조치가 시행되면서 이번 AD 제소를 앞당기게 됐다.기존에 특수강봉강을 포함한 철강업계에서는 국내 시장 잠식의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중국의 보복관세를 우려하여 수입규제 조치에 소극적이었다.그러나 2022년 이후 미국과 유럽, 캐나다 등 선진국들은 물론 인도와 아세안, 튀르키예와 중동, 중남미 등 신흥국들에서도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강력한 수입규제에 나섰다.이러한 흐름 속에 국내 철강업계에서도 후판에 대한 AD 제소를 관철시키고, 최근에는 도금·컬러강판으로 확대되는 등 반덤핑 관세 부과를 통한 수입 규제를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이와 같은 흐름 속에 특수강봉강 업계에서도 국내 산업 보호는 물론 1차 및 2차 유통업계, 자동차와 기계, 조선, 건설 등 주요 수요산업으로 이어지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AD 제소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업계 대표주자인 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이 나서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수강봉강 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산 수입재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국내 제품 대비 저가 판매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국내 업계는 시장 점유율 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판매 가격을 인하했고, 이로 인한 시장 가격의 하락으로 제조업체들은 물론 유통업체들도 대부분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의 탄소합금강봉강 생산능력과 생산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공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시장에서의 저가 경쟁이 더욱 심화되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세아베스틸 관계자는 “국내외 수요 둔화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공정한 경쟁 환경을 회복하고, 국가 경제의 근간이 되는 국내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정부에 탄소합금강봉강에 대한 덤핑방지관세 부과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